사업개요
소상공인의 안정적 성장 및 경영을 위하여 '2021년 중소벤처기업부 소관 소상공인 정책자금 융자계획'을 공고합니다.
☞ 「소상공인기본법」 제2조 및 같은 법 시행령 제3조의 소상공인
☞ 7천만원까지 융자 지원
지원분야 및 대상
ㅇ 융자대상
- 「소상공인기본법」 제2조 및 같은 법 시행령 제3조의 소상공인
* 세부사항은 각 자금에서 규정하고, 주된 사업의 업종이 융자제외 대상 업종(별표1)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융자대상에서 제외
ㅇ 융자제한 소상공인
① 세금을 체납중인 소상공인. 단, 세금분납계획에 따라 성실하게 세금을 납부하고 있는 소상공인은 융자대상에 포함
② 한국신용정보원의 "일반신용정보관리규약"에 따라 "신용도판단정보", "공공정보" 등에 등록되어 있는 소상공인
③ 기타 허위 또는 부정한 방법으로 융자를 신청하거나 대출자금을 융자목적이 아닌 용도로 사용한 소상공인
④ 임직원의 자금횡령 등 사회적 물의를 일으킨 소상공인
⑤ 휴ㆍ폐업중인 소상공인. 단, 재해를 직접 원인으로 휴업중인 소상공인은 가동 중인 소상공인으로 간주하여 융자대상에 포함
⑥ 정책자금 융자제외업종(별표1)을 영위하는 소상공인
지원조건 및 내용
ㅇ 융자한도
- 개별기업당 융자한도는 중소벤처기업부 소관 소상공인 정책자금의 융자잔액 기준으로 7천만원(일부자금은 별도 규정)까지 지원
ㅇ 대출금리
- 정책자금 기준금리(분기별 변동금리)에 사업별 가산금리를 적용하며, 일부자금의 경우 고정금리를 적용
ㆍ 기존 대출기업도 정책자금 기준금리 변동에 따라 대출금리가 변동되며(일부자금 제외), 대출금리는 정부정책에 따라 변경 가능
- 정책자금 기준금리 및 분기별 대출금리는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(이하 '소진공'이라 한다) 홈페이지(
www.semas.or.kr)에 공지
* 사업별 대출금리 등 세부사항은 각 자금에서 규정
* '21.1분기 정책자금 기준금리 : 1.55%
ㅇ 융자 방식
- 직접대출 : 소진공이 융자 접수 → 평가 → 대출 실행까지 진행
- 대리대출 : 소진공에서 정책자금 지원대상 확인 후, 금융기관에서 보증서부, 신용 또는 담보부 대출 실행
* 보증서부 대출은 신용보증기관 경유
ㅇ 융자 결정 절차
- 직접대출 : 소진공에서 기술성, 성장잠재력, 경영능력, 사업계획 타당성 및 신용도 등을 종합 평가하여 융자 여부 및 금액 결정
- 대리대출 : 소진공은 융자 지원대상 여부를 확인하고, 금융기관(신용보증기관)에서 평가를 통해 융자 여부 및 금액 결정
ㅇ 자금 대출 : 융자대상으로 결정된 기업에 대하여 융자약정 체결 후 대출 실행
< 소상공인정책자금 융자 절차 >
<직접대출>
|
|
신청ㆍ접수
(소진공)
|
|
심사평가
(소진공)
|
|
대출 실행
(소진공)
|
|
|
|
|
|
|
신용 대출
|
지원가능 여부 판단
(적격 여부)
|
→
|
사업성 등 평가를 통한 대출한도 금액 산정
|
→
|
대출약정 체결 및
대출 실행
|
<대리대출>
|
|
신청ㆍ접수
(소진공)
|
|
(보증서 발급)
(신용보증기관)
|
|
대출 실행
(금융기관)
|
|
|
|
|
|
|
보증서부 대출
|
|
지원가능 여부 판단
|
→
|
신용ㆍ사업성 평가 후 보증서 발급
|
→
|
보증서를 통해 대출
|
|
신용ㆍ담보부 대출
|
|
지원가능 여부 판단
|
→
|
신용ㆍ담보 평가 후 대출
|
|
ㅇ 사후관리
- 대출 후 당초 정해진 용도에 부합하는 자금집행 여부의 점검을 위해 대출기업에 대한 관련자료 징구 등 실태조사 실시
* 대출자금의 용도 외 사용 시 자금 조기회수 등의 제재조치 실행
ㅇ 접수 시기
- 매월 세부 자금공고 후 접수 개시하며, 월별 자금 배정한도 내에서 자금 신청 및 이용 가능
* 단, 월별 예산 소진 시 조기 접수마감 될 수 있으며, 세부 자금공고는 소진공 홈페이지(
https://www.semas.or.kr) 별도 게시
ㅇ 2021년 소상공인 정책자금 융자계획(
☞자세히보기)
신청방법 및 서류
주관기관 담당부서 및 담당자
접수기관 담당부서 및 담당자
기타사항
※ 자세한 사항은 중소벤처기업부 홈페이지(
☞바로가기) 참조
문의처
ㅇ 중소기업 통합콜센터(국번없이 1357)
ㅇ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지역센터 연락처 및 관할구역 : 하단의 [첨부파일] 참조
ㅇ 신용보증서 발급기관
- 지역신용보증재단(1588-7365) / 지역신용보증재단 연락처 : 하단의 [첨부파일] 참조
- 신용보증기금(1588-6565)
- 기술보증기금(1544-1120)